된장찌개 황금레시피
반갑습니다.
오늘은 된장찌개 황금레시피를 주제로 요리를 소개합니다.
된장찌개는 된장을 주재료로 끓인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찌개입니다. 김치찌개와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찌개 요리로 자리매김했지요.
국 용도로 조금 묽게 끓인 것은 된장국, 또는 토장국이라고 합니다. 사실 된장국과 된장찌개의 차이는 얼마나 진하냐의 차이일 뿐 본질적인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하네요.
된장찌개의 주재료로는 대파, 부추, 양파, 마늘, 냉이, 배추, 시금치, 시래기, 애호박 등이 사용되며 그다음으로는 감자, 표고버섯, 콩나물, 팽이버섯 등이 있습니다.
쇠고기(주로 차돌박이)를 넣어 진한 맛을 더하거나 조개, 게, 바지락 등의 해산물로 시원한 국물 맛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지요.
한편, 고추장을 넣어 매콤하게 끓이기도 합니다. 어떤 반찬이든 거의 다 소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 된장찌개이므로, 집집마다 조리법과 맛의 풍미 등이 아주 다양하다고 합니다.
고깃집에서 생고기 구이나 공깃밥을 주문하면 서비스로 된장찌개가 나오기도 합니다. 대부분 작은 뚝배기에 담겨 나오며 굉장히 뜨겁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지요.
여기서 된장찌개 황금레시피를 소개할까 합니다.
재료 먼저 소개하고 레시피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조리도구]
뚝배기, 요리나이프, 나무도마
[재료]
느타리버섯(다른 버섯도 가능), 양파, 애호박, 청양고추, 두부, 물
[양념]
된장, 진간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 설탕, 소금
재료의 양은 본인이 원하는 만큼 적당량 준비하면 됩니다.
■ 뚝배기에 물을 적당히 붓고 된장, 다진 마늘, 고춧가루, 간장, 설탕을 넣고 한소끔 끓여주세요.
■ 이 시간에 양파, 버섯, 애호박, 두부, 청양고추를 물에 씻어 먹기 적당한 크기로 썰어줍니다.
■ 한소끔 끓은 된장물에 양파부터 청양고추까지 모든 재료를 넣어주세요.
■ 애호박이 익을 때까지 충분히 끓여주면 완성입니다. 간을 보면서 소금을 첨가하면 됩니다.
이렇듯 된장찌개는 매우 간단한 요리이니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선 된장찌개 황금레시피의 주재료인 된장에 대한 설명으로 넘어갑니다.
된장은 콩으로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발효시킨 식품인데요. 발효시킨 소금물은 체에 걸러 끓인 후 식히면 간장이 됩니다. 아주 신기하죠. 콩을 발효시키면 균류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더 잘 흡수되는 것을 이용한 식품입니다.
된장은 농하다를 뜻하는 되다에서 온 말입니다. 된장을 조리해 먹기도 하지만 생된장을 활용한 음식이 많아요. 소금 함량이 높은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소금을 사용하는 절임에 간장이나 된장을 주로 사용합니다.
식초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절임이라고 하면 소금으로 절인 짠지이거나 간장 또는 된장으로 절인 겁니다. 또한 생된장 그대로 섭취하거나 양념장을 만들어 먹는 경우도 많지요.
과거부터 화상을 입거나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리거나 하면, 된장을 바르는 민간요법이 쓰였죠. 포름산과 된장의 암모니아가 중화반응으로 상처가 가라앉는 효과가 있긴 해도, 신속히 약이나 병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아요.
마지막으로 된장류 식품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마치겠습니다.
막장 : 가루장이라고도 하는데, 메주를 그대로 빻아서 만든 장입니다. 막 만들었다고 하여 막장이라는 설이 있네요. 강원도 지방에서는 막장을 오래 묵혀 먹기도 합니다. 색이 어둡고 진한 것이 특징이죠.
미소 : 미소의 경우 쌀을 쓰기도 하기에 장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호칭입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콩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된장과 유사하지요.
보리된장(시금장) : 메주부터 보리로 만들거나 보리랑 메주가루를 섞어 만든 된장입니다. 재료가 재료다 보니 속성장에 속하며 새콤한 맛이 도는 것이 특징이지요.
강된장 : 지역에 따라 깡된장, 깡장, 빡빡장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된장에 소고기, 두부 등을 넣고 육수를 부어 자작하게 끓인 장으로 찌개 또는 비비밤의 재료에 사용됩니다.
토장 : 메주로 간장을 뽑지 않고 담근 된장입니다.
지레장 : 메주와 김치국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장이죠.
청태장 : 푸르대 콩 메주와 햇고추를 이용하여 만든 장입니다.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육볶음 황금레시피 가볍게 봅시다 (1) | 2023.12.06 |
---|---|
파래무침 맛있게 만드는법 알아볼까요? (0) | 2023.12.05 |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 함께 봅시다 (0) | 2023.12.03 |
감자전 만드는방법 알아볼까요? (1) | 2023.12.02 |
콩나물밥 만드는 방법 설명합니다 (0) | 2023.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