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 함께 봅시다

by 별밤11 2023. 12. 3.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

 

 

반갑습니다.

오늘은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를 소개하겠습니다.

 

김치찌개는 한국의 대표적인 요리입니다. 김치를 기반으로 하는 찌개 요리인데요. 비슷하게 된장찌개와 함께 한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한식으로 여겨지죠.

 

김치를 볶은 다음 물을 부어 끓이는 방법으로 조리합니다. 묵은지 김치는 굳이 볶지 않아도 깊은 맛을 낼 수 있지만 익지 않은 일반 김치는 꼭 볶는 것이 중요합니다.

 

 

김치찌개에 대체로 배추김치를 많이 사용하지만, 가끔 열무김치나 깍두기로 김치찌개를 요리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많이 쓰이는 김치 종류는 단연 배추김치이지요.

 

 

김치찌개의 역사는 김치의 역사와 나란히 합니다. 너무 시어지고 소금기가 높아 먹기 힘들거나, 양을 불리기 위해 김치를 물에 풀고 끓여 먹던 방식이 대파, 두부, 고기, 마늘 등이 추가돼 현재의 김치찌개가 됐다는 설도 유명하지요.

 

돼지고기 앞다리살이나 삼겹살을 쓸 경우 굳이 다른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비계 기름만 이용하여 볶아도 매우 구수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종종 목살이나 안심, 등심 등의 부위로 끓이거나 그런 고기를 사용할 수도 있어요.

 

 

 

이제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를 공개합니다.

 

[조리도구]

볼, 계량컵, 숟가락, 냄비, 대접

 

[주재료]

물, 찌개용 돼지고기(또는 목살), 신김치, 김칫국물, 참기름, 양파, 청고추, 대파

 

[고기 밑간(재우기)]

고추장, 미림, 국간장, 소금, 다진 마늘, 국간장, 후추

 

재료의 양은 본인이 먹고 싶은 만큼 적당히 준비하시면 됩니다.

 

 

♣ 돼지고기는 양념을 넣어 조물조물 한 뒤 30분 이상 재워줍니다.

 

♣ 냄비에 썰어놓은 김치와 밑간 한 돼지고기, 김칫국물 5큰술, 참기름 1작은술을 넣어 약불에서 4분 정도 충분히 볶아주세요.

 

♣ 충분히 볶은 김치에 물 1컵을 넣어 끓여줍니다.

 

♣ 물 1컵을 넣어 보글보글 끓인 후 나머지 1컵을 더 붓도록 합니다. 물을 한꺼번에 부어 끓이는 것보다 이렇게 나눠서 끓여주면 국물맛이 더욱더 좋아지죠.

 

 

♣ 찌개 국물이 보글보글 끓으면 양파와 두부를 넣어주세요. 국간장도 적당량 첨가합니다.

 

♣ 모든 재료가 잘 어우러졌다면 다진 마늘과 어슷 썬 고추를 넣어줍니다.

 

♣ 싱겁다면 소금으로 간을 해주시고, 대파와 나머지 고추 1개를 더 추가하여 약간 더 끓인 후 완성합니다!

 

 

 

돼지고기 김치찌개 황금레시피를 다 보았다면,

김치와 돼지고기에 대한 정보 및 건강 효능을 알아봅시다.

 

돼지고기는 영양과 맛이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의 영양식으로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어린이 성장 발육에 탁월한 돼지고기입니다.

 

돼지고기는 색깔이 선명하고 윤기가 있는 담홍색으로 기름지고 살코기가 두꺼운 것이 좋습니다. 지방은 하얀색으로 탄력성과 끈기 있는 것을 골라줍니다.

 

냉장고의 신선실에 보관하면 되고, 장기간 보관하려면 비닐봉지에 단단히 밀봉하여 냉동실에 보관합시다.

 

 

한편, 돼지고기를 조리할 땐 지방을 적당히 잘라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지방을 모두 제거하면 요리가 푸석해져 고기의 맛이 떨어지니 주의하세요.

 

돼지고기엔 비타민A가 들어있는데, 이 영양소는 눈 건강에 이롭습니다. 대표적인 눈 건강 비타민이죠.

 

그리고 돼지고기는 칼륨(K)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나트륨을 배출하여 고혈압을 예방합니다. 그렇지만 콜레스테롤이 많아 과잉 섭취하면 안 됩니다.

 

 

 

마지막으로 김치에 대해 알려드리죠.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입니다. 배추김치, 파김치, 열무김치, 물김치, 깍두기, 나박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부추김치, 깻잎김치, 오이소박이 등 종류도 무척 다양하여 200여 종이 넘는 김치가 있습니다.

 

김치를 만드는 방법은, 채소를 소금에 절였다가 씻은 뒤, 각종 양념을 해서 발효시키면 김치가 완성됩니다. 김치를 발효시키는 균은 젖산균 또는 유산균이라고 합니다.

 

 

김치를 양념한 후에 무거운 김칫돌로 꾹꾹 눌러 공기를 빼는 이유는 김치에 살고 있는 젖산균이 산소를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젖산균이 발효를 통해 젖산을 만들면 상큼하고 시원한 맛이 일품인 김치가 되지요.

 

젖산은 체내에서 소화 효소가 잘 나오게 돕고,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소화된 음식물이 잘 배설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항암 효과도 있어 암을 예방해주기도 해요. 그리고 발효되는 과정에서 비타민을 2배가량 높이기도 하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