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371 청경채 굴소스 볶음 오늘의 요리 안녕하세요.오늘은 청경채 굴소스 볶음을 소개합니다. 중국 배추의 일종인 청경채는 포기째 먹는 채소로 수분이 많아 생으로 먹으면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식감이 신선합니다. 특별한 맛이 있지는 않지만,굳이 맛을 표현하자면 부드러운 양배추와 시금치의 중간 맛 정도로 표현할 수 있지요. 이처럼 튀는 맛이 없어 주로 소스의 맛을 살리거나 쌈 채소, 샐러드 또는 볶음용 요리에 주로 활용됩니다. 노지에서 재배되는 청경채는 주로 봄과 가을에 재배되지만, 시설 재배를 통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시사철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청경채는 일본 품종이 대부분이며, 앞면이 붉은 적청경채는 국내 품종이 많은 편이죠. 청경채는 수분이 대부분이지만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과 무기질, 다량의 비타.. 2024. 11. 30. 표고버섯 보관방법 함께 봅시다 반갑습니다.이번 시간에는 표고버섯 보관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표고버섯은 느타리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향과 맛이 좋아 생으로 식용하거나 말려서 분말된 것은 천연조미료로 사용되고, 채소 육수의 주재료로도 쓰입니다. 표고버섯은 느타리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밤나무와 떡갈나무 등 죽은 나무에 기생하여 자랍니다. 향과 맛이 좋아 각종 음식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며,생으로 이용하거나 말려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원래 봄부터 파종하여 이듬해 가을부터 수확하지만 시설재배의 경우에는 연중 생산이 가능합니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흔히 먹는 버섯으로 각 지역에 자생하는 표고도 있지만 대부분 재배한 표고를 이용합니다. 표고버섯은 생으로 먹기도 하지만,말리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이 생성돼 다른 건조 버섯과는 달리 상품성이 .. 2024. 11. 28. 청경채 무침 만들기 함께 봅시다 안녕하세요.오늘은 청경채 무침 만들기를 소개합니다. 청경채는 중국 배추의 일종으로 중국 요리에 약방의 감초처럼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채소입니다. 청경채는 생으로 먹는 겉절이도 맛있지만, 굴소스와 함께 볶아 먹는 요리도 일품이죠. 영양이 풍부한 청경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청경채는 잎줄기가 엷은 청록색을 띠고 광택이 있으며, 잎이 시들지 않는 것이 상품입니다. 잎과 줄기가 같이 붙어 자라는 청경채는 칼슘, 나트륨 등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C가 풍부합니다. 가능하면 남기지 말고 한꺼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남았을 때는 씻지 말고 비닐봉지에 넣어 냉장고 신선실에 넣어 보관합니다. 청경채는 원산지는 중국이며 일본, 한국에서 재배됩니다. 중국 채소로 떫은맛이 거의 없어서 보통 데치는 것보다 냄.. 2024. 11. 27. 키위 주스 만드는 법 오늘의 요리 반갑습니다.이번 시간에는 키위 주스 만드는 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키위는 다래과 덩굴성 낙엽과수이며, 원산지는 중국 양자강 연안이고 중국에서는 양도라고 부릅니다. 20세기 들어 중국으로부터 뉴질랜드에 전해져 개량을 거듭하여 오늘날 키위가 됐습니다. 열매 형태가 갈색 털로 덮여 있어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키위라는 새와 닮아 키위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양다래, 참다래라 부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참다래라고 부르는 키위는 수확한 뒤 일정 기간 익혀서 먹는 후숙 과일로 익은 정도에 따라 맛도 다릅니다. 키위는 즙이 많고 단맛과 신맛이 적당해 상쾌한 맛이 있지요. 신맛을 좋아하면 약간 단단할 때 먹을 수 있고, 달콤한 맛을 즐기려면 복숭아처럼 말랑말랑할 때 먹으면 됩니다. 그린.. 2024. 11. 26. 이전 1 2 3 4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