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치볶음밥 맛있게 만드는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김치볶음밥은 김치와 밥을 볶는 것이 기본인 자취생들의 친구 메뉴인데요. 김치를 소비하기에 딱 좋은 메뉴이기도 합니다. 동시에 밥을 해 먹고 난 후에 조금 남은 밥을 해결하는 데에도 매우 좋습니다.
밥과 김치만 놓인 초라한 밥상이 이 둘을 섞어 놓았을 때 마술처럼 화려한 밥상으로 변신합니다. 밥과 김치, 오래전부터 먹어왔지만 이 2가지 재료를 섞어서 볶아낸 음식이 출현한 것은 1930년대 이후 프라이팬이 도입되면서부터이죠.
김치를 잘게 썰어서 기름과 함께 볶아내는 김치볶음밥은 프라이팬이라는 도구가 없으면 만들 수 없는 요리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볶음밥은 중국식 볶음밥과 일본에서 유입된 오믈렛라이스가 유행을 타면서 시작됐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볶음밥 조리법의 바탕에 우리나라의 대표 음식인 김치를 활용해서 만들어진 것이 김치볶음밥이죠.
신김치를 넣어 느끼한 맛을 없앤 김치볶음밥은 별다른 반찬 없이도 먹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최소한의 한 끼 식사가 밥과 김치만 가지고도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밥과 김치만 놓고 먹는 초라한 밥상에 비해 김치볶음밥은 똑같은 재료를 쓰지만,
맛도 외형도 그럴듯한 단품 요리로 대접을 받습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김치볶음밥을 사랑하는 이유입니다.
김치에 들어가는 다양한 채소들은 열량이 적고 식이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체중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고추에는 캅사이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신진대사 작용을 활발히 함으로써 지방을 연소시켜 체중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고추만 투여했을 때보다는 김치에 든 고춧가루가 다이어트 효과에 탁월하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김치가 익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유산균과 유기산, 식이섬유소는 장을 깨끗이 하는 정장작용을 하고 장내 발암물질 활성을 떨어뜨리고 대장의 PH를 떨어뜨려 대장암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김치의 식이섬유소가 김치유산균에 의해 발효돼 항암효과 물질을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김치를 재료로 만든 김치볶음밥은 김치의 영양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거기다 밥의 당질 섭취까지 더해지고 그 외 첨가된 부재료에 의해 훌륭한 한 끼 식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김치의 단점은 소금이 많이 들어있는 겁니다.
특히 남부지방에선 소금과 젓갈을 많이 쓰기 때문에 맛이 더 짭니다. 이에 소금 섭취를 많이 하면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위암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김치를 싱겁게 담그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유기산 등 김치 맛 성분은 저염 김치가 고염 김치보다 더 풍부합니다. 김치의 소금 농도를 2% 이하로 줄이면 건강에 유익합니다.
가장 먼저, 참치 김치볶음밥 맛있게 만드는법부터 봅시다.
[주재료] (1인분)
배추김치 75g
밥 200g
참치 통조림 75g
다진 대파 10g
식용유 45ml
소금 약간
참기름 15ml
[부재료]
후춧가루 약간
깨소금 약간
♠ 배추김치는 속을 털어내고 0.5cm 폭으로 썹니다. 달군 팬에 식용유 1큰술을 두르고 배추김치를 넣고 볶습니다.
♠ 참치는 체에 밭쳐 기름기를 뺍니다. 팬에 참치를 넣고 볶습니다.
♠ 대파와 후춧가루를 넣고 더 볶습니다.
♠ 밥과 식용유 2큰술을 넣고 볶은 뒤 소금으로 간합니다. 불을 끄고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골고루 버무립니다.
이제,
김치볶음밥 맛있게 만드는법을 소개합니다.
[주재료] (2인분)
김치 250g
밥 400g
[부재료]
쇠고기 80g
양파 25g
당근 25g
올리브유 30ml
달걀 100g
참기름 15ml
후춧가루 약간
소금 약간
설탕 약간
(1) 밥은 고슬고슬하게 짓습니다.
(2) 쇠고기는 키친타월 위에 올려 핏물을 제거한 뒤 굵게 다집니다.
(3) 김치는 1cm 두께로 썹니다.
(4) 양파, 당근, 애호박은 굵게 다집니다.
(김치볶음밥에 여러 채소를 넣어 소금 섭취를 줄이고 다양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지요.)
(5)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쇠고기를 넣고 볶다가 소금, 후춧가루를 약간씩 뿌려 간합니다.
(6) 양파, 당근, 애호박을 넣고 더 볶다가 소금, 후춧가루를 약간씩 뿌려 간합니다.
(7) 김치와 설탕을 넣고 볶습니다.
(8) 밥을 넣어 잘 섞어가며 볶습니다.
(9) 다른 팬에 달걀 프라이를 만듭니다. 김치볶음밥 위에 올리면 완성입니다!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추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오늘의 요리 (1) | 2024.06.19 |
---|---|
오이 장아찌 아삭하게담는법 오늘의 레시피 (1) | 2024.06.18 |
갈치조림 황금레시피 함께 봅시다 (1) | 2024.06.18 |
소고기장조림 맛있게 하는법 함께 봅시다 (0) | 2024.06.17 |
북어국 맛있게 끓이기 오늘의 요리입니다 (0) | 2024.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