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뎅탕 끓이는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뎅탕 끓이는법을 소개하는 시간입니다.
오뎅탕은 냄비에 뜨거운 국물을 넣고 어묵, 쇠고기, 무, 힘줄살, 유부, 각종 해산물, 야채 등을 담가 끓여 먹는 일본 요리입니다. 나베 요리의 일종입니다.
일본에선 보통 포장마차, 어묵바라고 불리는 가게에서 판매되며, 가게 주인이 오뎅을 조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형태입니다.
한국과 일본의 어묵은 다른 점이 있습니다.
일본의 어묵에 첨가되는 재료가 더 다양합니다. 기본적으로 어묵 외에 소 힘줄, 문어, 삶은 달걀 등이 첨가되며, 가끔은 만두, 떡, 소시지를 넣기도 하지요.
(오키나와 지역에서는 족발도 넣는다고 하네요.)
여타 재료뿐만 아니라 어묵 자체의 종류도 많은데, 일본인마다 선호하는 어묵의 종류도 여러 가지입니다.
일본 또한 한국처럼 무를 넣습니다.
일본어로는 다이콘이라고 하는데, 일본의 어묵 재료 인기 설문 조사를 하면 항상 위에 있을 정도로 인기가 최고입니다.
한국에선 어묵에 들어간 재료들을 양념간장에 찍어 먹는 것과 다르게,
국물 자체가 간장 국물이라서 일본인들은 겨자, 고추냉이에 찍어 먹지요. 오키나와는 아예 서양식 머스터드 소스를 곁들입니다.
한편, 오뎅탕 중에 '물오뎅'이 있습니다.
다시마, 무 등을 넣어 만든 육수에 꼬치에 꿴 어묵을 넣어 끓인 요리이지요.
부산광역시, 경상도 등지의 지역 음식으로 유명합니다. 물오뎅은 어묵꼬치의 다른 말인데, 여기서 오뎅은 국물이 있는 어묵 요리를 뜻하는 일본어입니다.
어묵 자체는 일본에 기원을 둔 음식이고, 우리나라에선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에서 처음으로 어묵 공장이 들어섭니다.
이후 부산 지역에서 일본의 어묵과 오뎅 요리가 한국식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 물오뎅입니다. 물오뎅은 시장이나 길거리 포장마차에서 판매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만드는 방법이 어묵탕보다 간단하고 꼬치에 꿰어 만드므로 길거리에서 먹기 편한 음식입니다.
어묵은 꼬치에 꿰어 준비하고 멸치는 내장을 제거합니다.
무는 깨끗이 씻어 두툼하게 잘라 놓습니다. 냄비에 멸치, 다시마, 무, 대파 등을 넣고 물을 충분히 부어 육수를 만듭니다.
이때 꽃게, 건새우 등을 추가해 끓이면 시원한 맛을 낼 수 있지요. 육수가 충분히 우러나면, 멸치는 건져내고 간장 및 소금으로 간하면 됩니다.
물오뎅은 그냥 섭취해도 싱겁지 않으며 식초, 간장, 참기름, 고춧가루, 들깨 등을 넣어 만든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 됩니다.
일본식 어묵의 종류를 알아봅시다.
어묵은 각 지역에 따라 국물의 맛이나 사용하는 타네가 다양하며 특색이 강합니다.
<홋카이도>
고사리, 머위 등의 산채와 가리비, 소라 등의 조개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어패류와 다시마를 기본으로 한 국물에 재료를 끓이는 것이며 된장 소스에 찍어 먹습니다.
<규슈>
규슈 지방에선 닭뼈를 우려낸 육수를 사용하며, 으깬 어육으로 교자를 감싸 튀긴 교자마끼를 넣습니다. 오키나와 지방에서는 돼지 족발을 우려 육수를 내며 소시지를 첨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간토우>
도쿄를 중심으로 치쿠와부, 한펭, 스지, 츠미레를 오뎅의 타네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칸사이>
가츠오다시를 사용한 에도시대의 니코미 오뎅에 곤부다시를 추구하여 국물 맛의 깊이를 더합니다. 오사카의 오뎅에는 말린 고래 껍질이나 쇠고기 힘줄을 반드시 넣는 것이 특징이고, 교토에선 교야사이와 유바를 넣습니다.
<츄고쿠>
오뎅을 소스류에 찍어 먹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히메지오뎅은 간장에 생강을 갈아 넣은 쇼가쇼유에 찍어 먹습니다.
이제, 오뎅탕 끓이는 방법을 자세히 보겠습니다.
[재료]
어묵 1kg
다시마 1장
대파 1 뿌리
간장 2 티스푼
소금 약간
말린 표고버섯 약간
육수용 멸치 1줌
무 조금
물 2L
미림 2L
쑥갓 약간
■ 처음엔 육수를 내야 합니다.
무, 대파를 함께 넣어줍니다. 말린 표고버섯도 첨가하세요.
(육수가 끓으면 다시마를 꺼내 중불로 20분 정도 충분히 끓여줍니다.)
■ 육수가 끓는 동안 어묵을 꼬치에 끼워줍니다.
■ 육수가 충분히 끓으면 모든 재료를 건진 후 간장과 맛술을 분량대로 넣어줍니다.
■ 어묵을 넣고 끓여줍니다. 어묵이 오동통 불어나면 소금으로 마지막 간을 합니다.
■ 간장도 준비하면 완성입니다.
(입맛에 따라 우동사리를 넣을 수도 있어요.)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운 갈비찜 황금레시피 어떻게 요리할까요? (0) | 2024.02.17 |
---|---|
김치만두속 만드는 방법 오늘의 요리 (0) | 2024.02.16 |
백김치 맛있게 담는법 어떻게 요리할까요? (0) | 2024.02.15 |
우엉조림 맛있게 하는법 함께 봅시다 (0) | 2024.02.14 |
파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오늘의 요리입니다 (0) | 2024.02.14 |
댓글